NATTI CCL 이란?

나띠 CCL 이라고 불리는 이 시험은 NATTI라고 불리는 기관에서 시행하는 CCL(Credentialed Community Language) 시험이다. 사람들이 이 시험을 나띠 / CCL / NATTI 등.. 다양하게 불러서 매우 헷갈렸는데, 알고 보니까 NATTI는 기관이고 CCL이 시험이다.

 

이게 통번역 시험이라고 해석이 돼서, 이 시험을 통과하면 통번역가 라이센스가 주어지나 싶지만 그건 아니다. 통번역 자격이 주어지려면 2년 이상의 관련 교육기관을 다녀야 한다나.. 번역가로서 수입을 얻으려는게 아니고 그냥 내가 적당한 수준의 언어를 구사하는지에 대한 테스트를 받는데에 의의를 둬야 한다.


이 시험을 왜 봐야 하나?

바로 영주권 때문에!!.. 코로나 이후 호주 이민 수요가 급증하면서 호주 기술비자 점수컷이 매우 올라갔다.. 내가 지원하려고 하는 소프트웨어 직군은 점수컷이 90 - 100으로 매우 높은데, 이 시험이 5점을 추가로 주기 때문에 매우 귀중하다...


시험 접수 방법

시험을 바로 접수 할 수 있는게 아니라, Application을 지원해야 한다. 

 

Step 1 - NATTI  가입하기

아래 링크를 가서 가입을 해야 한다.

https://www.naati.com.au/

 

Step 2 - Application 접수

로그인 -> MyNatti -> Submit an Application -> 가운데에 있는 CCL Test 확인

 

주의사항 - 여권용 사진과 / 여권 사진을 둘 다 첨부해야 하는데, 나는 실수로 여권용 사진 첨부 화면에 여권사진을 첨부했다. 근데 이 페이지는 사진을 내가 수정할 수 없고.. 무조건 고객센터를 통해서 바꿔야 한다 ㅋㅋㅋ 주의하자!..

 

Step 3 - 접수 완료 화면

Application 완료

 

 

Step 4 - Application Assessment 완료

Application을 잘 끝내고 나면 메일이 온다(24시간 정도 걸렸음). 그런데 이름이 Natti로 온게 아니고 noreply로 와서 1주일 뒤에 발견했다 ㅋㅋ

Confirmation of Application

 

Step 5 - 시험접수

Login -> MyNatti -> Manage My Tests 에 가서 접수

814$를 지불하면.. ㅋㅋㅋㅋ 된다...

 

결제 이후의 페이지


시험 공부 방법

공부는 거의 안했다! 헤헷 진짜 하기 싫었다! ㅋㅋㅋ

이거는 시험료가 비싸서 강의를 들을까도 생각했는데, Sydney CCL이라는 유투브에서 기출문제를 몇 번 보다보니 굳이 필요하지 않을 것 같았다. 여기 영상도 엄청 많으니, 이것만 다 봐도 연습은 충분해 보인다..


그리고 firefly 자료도 있는데, 이거는 블로그를 참고해서 다운받았다. [어썸님 블로그]
그래서 firefly 자료 10장 정도 읽어봤다.

NATTI 에서 연습문제를 풀 수도 있는데, 이것 조차 날짜가 정해져 있다! 그래서 하루 전에 풀려고 했던 나는 못 풀었다 ㅋㅋㅋ


시험 후기

<Dialogue 1>

  • 세입자와 부동산 중개인 간의 대화
  • 세입자가 걸고 싶은 예술작품이 있다고 하는데, 추가로 못을 더 박아도 되냐고 물어봄
  • 중개인이 안된다고, 계약서에 써있다고 하는데, 이미 못 자국이 있다면서 실갱이 하는 대화

<Dialogue 2>

  • 불면증에 시달리는 환자와 정신과 의사
  • 불면증으로 만성 질환이 있는 환자. 하지만 의약 처방은 싫다고 한다.
  • 그러면 명상을 해보라고 추천. 그리고 3주뒤에 뵙겠습니다

시험 결과

시험은 2025년 6월 17일에 보았고, 결과는 2025년 7월 1일에 받았다. 거의 꽉 채운 2주였다. 각 다이얼로그가 어려운 내용도 아니었고, 크게 어려웠던 표현도 없었다. 매우 잘 봤다고 생각했었음. 그런데 정작 결과를 받고 보니 90점 만점에 63점이었다. 각 다이얼로그마다 45점 만점이고 최소 29점 이상 받아야 한다. 그래서 거의 턱걸이를 한 이 점수가 사실 매우 믿을 수 없었다. 유창하지 않았나..? 표현이 구렸나..? 나는 평소에도 영어로 말을 할 기회가 많아서 통역은 자신 있었는데 시험 결과는 그렇게 말해주지 않고 있었다.. ㅋㅋㅋㅋ

하지만 뭐.. 어차피 영주권 점수 때문에 보는 시험이라 그냥 붙었다는데 의의를 두는 것으로…. 깊이 파고 들 이유는 없다.


시험 결과 - 메일로 날아온다


개인적인 후기

아~~~ 솔직히 말하면 정말 정말 공부하기가 싫었다. 우선 인터넷으로 찾아봤을 때 그닥 어려워 보이는 시험이 아니었고, 공부를 하지 않아도 합격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을 했다. 사실 PTE 시험은 약 30만원이고, 나띠 시험은 73만원이기 때문에 비용을 생각하면 나띠 시험에 훨씬 시간을 많이 투자하는 것이 맞았으나… PTE 시험 후 기술심사와 나띠로 거의 비슷한 강도의 삶을 살고 있었다.

인터넷 후기를 봤을 때는 70점 대의 어딘가를 받을 거라고 생각했는데, 실제 결과는 겨우 턱걸이여서 좀 놀랐다. 어후 까딱 잘못하면 재시험 봤어야 된다고 생각하니 뒷골이 당겼지만, 안 봐도 되니 다행.

아! 시험시간이 3시였는데, 그 전날 프로그램 setup을 하다가 미리 시험 세션으로 들어갔다. 그런데 2시라고 시험시간이 나와서 이게 뭐지?! 싶었는데, 문득 시험시간이 어디를 기준으로 하는 시간인지 확인을 안했다는!!! 자세히 잘 보니 모든 시험 시간은 시드니 기준이었다! 

영주권이란?

영주권이라 하면 제약 없이 영원히 특정 나라에서 살 수 있는 권리를 가지는 것인데, 그 차이가 시민권과는 다르다. 이 점에 대해 사람들이 잘 모르는 이유는, 우리나라에서 영주권을 가지기가 진짜 매우 어려워서 귀화를 해서 시민권을 가진 사람을 보았을 지언정 영주권을 가진 사람을 잘 보지 못하기 때문이다.

 

나라별로 영주권에 대한 규정은 다르지만 호주의 경우 영주권은 호주에서 계속 살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다만 해외 재입국 권한(RRV)은 5년 단위로 갱신을 해야 하는데, 호주 영주권을 따고 다른 나라에서 실컷 살다가 다시 입국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호주에서 계속 거주할 계획이 있다면 굳이 시민권을 따지 않고 호주에서 비자 문제 없이 살 수 있다.

 

아래는 Chat gpt 가 호주 영주권에 대해서 답변해 준 것(2025년 06년 1월 기준)

 

 

나라별 영주권 현황

나라마다 영주권을 받을 수 있는 기준은 매우 다르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의 경우 결혼 비자를 제외하고 나면 영주권은 사실상 진짜 어렵다. F5로 시작하는 영주권 비자 시리즈는 최소 소득금액이 GNI(국민 1인당 평균 소득)이 2배이거나, 자산이 일반 국민의 1.5배여야 하는데, 이 것을 2025년 기준으로 숫자로 치환해봤다. 회사원을 기준으로 연봉이 1억 3천 가량 되거나, 자산이 5억에... 가까워야 한다. 사실 나이가 어느 정도 있어서 연봉을 저 정도 받거나, 집을 샀다면 가능하기는 한데 사실 영주권이 없기 때문에 대출을 받아서 집을 사기가 어렵고... 주변에 연봉 1억 3천인 사람... ㅋㅋㅋㅋㅋ 이 얼마나 있는지 생각해보면 저 기준이 얼마나 높은지 알 수 있을 것이다. 

 

무튼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해당 나라에서 5년 정도 워킹 비자 / 파트너 비자 등으로 살면 영주권을 준다. 이제 그러면 워킹 비자를 받을 수 있을 정도로 능력자이거나.. 아니면 배우자를 만나거나.. 등등의 방법이 있다. 최근(2025년 5월) 영국에서 그 기준을 10년으로 바꿨다고 하니 전 세계적으로 국경을 닫고 있는 것이 실감난다. 

 

모든 나라별로 5년 룰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닌데, 상당수의 나라들이 기술이민을 환영하고 있다. 특정 직종을 가진 사람들에게 가산점을 주어 그 사람들을 해당 나라로 오기를 바라는 것이다. 

 

그래서 사실 2023년에 블라인드에서 호주 영주권을 Off shore (호주 밖에서 영주권 수령)로 받은 사람을 보았다. 나는 이게 매우 신선한 충격이었던게, 그 나라에 당장 살고 있지 않은데도 영주권을 받을 수 있다는게 너무 신기했다. 그래서 그 때부터 호주 영주권을 한국에서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알고, 한번 준비를 해보기로 했다.

 

 

189  / 190 비자

이 둘은 호주의 영주권이다 - Skilled independece visa 이름하여 기술이민 비자이다. 이 비자는 호주에서 원하는 직업군의 사람들에게 뿌려진다. 예를 들어서 호주에서 간호사 1000명이 필요하면, 그들이 맞춰놓은 기준에 해당하는 사람이 지원. 점수가 높은 사람 우선순위로 1000명을 뽑는 것이다. 점수가 같으면 먼저 지원한 사람이 받는다고 한다. 

 

189 와 190의 차이는, 189는 온전한 기술이민 비자이고, 190은 주정부 후원 비자이다. 190의 경우는 특정 주(빅토리아 등)에서 후원을 해주는 것이기 때문에, 그 주에서 2년 정도 거주 및 근무를 해야 한다. 그 제약 조건이 붙지만 대신에 영주권 점수에서 5점을 더 얻을 수 있다. 

 

그러면 어떤 점수표를 가지는지 살펴보자. 

https://immi.homeaffairs.gov.au/visas/getting-a-visa/visa-listing/skilled-independent-189/points-table

 

 

 

Point Table

이 표를 보면 어떤 사람을 선호하는지 알 수 있는데,

25세에서 32세 정도의 젊은 / 대학교를 졸업한 후에 경력이 좀 있는(주니어가 아닌) / 그리고 호주에서의 경력이나 학력이 있으면 더 좋은 / 영어를 잘하는 / 가급적 싱글을 요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점수를 만점으로 치환하면 190이 나온다고 하는데, 25세이면서 경력이 10년이기는 어려우니 만점을 받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고 보면 된다. 

 

이 비자를 신청하기 위한 최소 점수 조건은 65점이지만, 실제 영주권이 보장되는 최소 점수는 직업군별로 다 다르다.

 

내가 목적으로 하고 있는 개발자는 85점 정도에서.. 100점까지 왔다갔다 하고 있다.

 

나의 경우는

  • 나이 - 30점
  • 영어 - 20점
  • 경력 - 5점(해외)
  • 학력 - 15점 (학사)
  • 통번역 - 5점 NATTI (목표로 하고 있음)
  • 싱글 - 10점

--------- 85점

이렇게 인데, 점수가 부족한거 같아서 5점 점수를 추가로 받을 수 있는 190 비자로 지원할 생각이다.

 

호주는 회계년도가 7월부터 시작이여서, 비자 초청(invitation round)이 7월에 시작될 것 같아서 부지런히 준비해볼 생각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