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포스트는 2021년 09월 30일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향후 정책의 조건이 바뀔 수 있으므로 사이트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경기도 청년 면접수당 바로가기]
필자 소개
경기도에서 2n 년간 거주중이며, 2020년에 총 4번의 면접을 보았음 [2020 경기도 청년 면접수당 바로가기]
2021년 3월 퇴사하고! 재취업을 위해 총 7번의 회사에서 면접을 봄
- A회사 1번
- B회사 1번
- C회사 3번
- D회사 2번
준비 서류
작년에 이 사업에 지원한 적이 있었기 때문에 면접확인서를 챙겨야겠다는 생각을 미리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면접확인서를 챙기지 못한 회사들이 있었다. 그 경우에는 면접 확인서 대체 서약서 및 면접참석안내문 그리고 결과 통보 증빙서류를 준비했다. 면접 확인서 대체 서약서의 경우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받아서 출력한 다음, 자필 서명하고 스캔을 해야 한다.
0. 공통서류
- 주민등록등본
1. A 회사
- 면접 확인서 대체 서약서 1부
- 채용공고문 없어서 면접 안내 카톡 첨부
- 면접 결과 카톡 안내 첨부
채용공고문도 이미 기간이 지났고, 무엇보다 면접 안내가 단톡 카톡방을 통해서 이루어졌다.... 그래서 가장 빈약하게 준비할 수 밖에 없었다.
2. B 회사
- 채용공고문 1부
- 면접확인서 1부
A 회사에서 있었던 일로 면접결과에 상관없이 면접확인서를 받아야겠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문제는 없었다. 다만, 채용공고문에 대한 생각은 못하고 있어서 자사 홈페이지에 들어갔는데 내가 지원했던 공고는 없어져서 어쨋든 비슷한 공고를 첨부했다.
3. C 회사
- 채용공고문 1부
- 면접확인서 3부
면접을 3번이나 본 회사였기 때문에, 한번에 면접확인서를 달라고 했다. 채용 공고문은 인터넷에 올라와 있는 것을 캡쳐했다.
4. D 회사
- 1차 면접
- 채용공고문 -> 이미 없어서 면접 안내문으로 대체
- 면접확인서 1부 (1차 면접)
- 2차 면접
- 채용공고문 -> 1차 면접 합격문으로 대체
- 면접확인서 대체서약서
- 최종합격 결과
면접 1차의 경우는 깔끔하게 면접확인서를 받았는데, 2차의 경우는 깜빡해서 우선 증거로 받았던 메일들을 잔뜩 첨부했다.
지원 과정
1. 경기도 청년 면접수당 사이트에 들어간다
2. 상단 제일 왼쪽의 면접수당 신청을 누르고, 본인인증을 진행.
3. 페이지에 나와 있는 모든 문항을 작성하고, 서류를 제출한다.
4. 저장 및 제출
5. 위 과정을 N번 반복 [마이페이지 - 신청내역 확인]
주의할 점
면접수당은 최대 6번을 받을 수 있는데, 위에서도 보면 알겠지만 필자의 경우 총 7개의 면접 서류를 제출하려고 했다. 왜냐하면 2개의 경우 서류가 살짝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어서 전체 7개 중에 6개가 인정되면 되겠지 하는 생각이었다. 근데 정작 제출하려고 하니 6개만 제출할 수 있다는 것이 아닌가!... 그래서 하나는 제출하지 못하고 임시저장한 채로 남겼다. 그랬더니 아래와 같이 임시저장한 서류를 제출하라는 독촉문자(?)를 받았다.
결과 통보
이렇게 10월 16일 경에 문자 통보가 왔다.
그리고 사이트에서 마이페이지 - 신청내역확인란도 이렇게 바뀌어 있었다. 신청상태가 '선정'으로 바뀌었다.
입금
입금은 10월 26일에 이루어졌고, 총 30만원의 지역상품권을 받았다. 올해 생각보다 많은 면접을 봤고, 그 덕에 졸지에 생활비를 벌게 되었다!? 면접을 보는것은 스트레스를 받는 과정이지만 이렇게 돈으로 들어와서 초큼 기쁘다.
'◆ 청년지원 정부 사업 ◆ > 경기도 혜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도 청년 기본소득[사업지원 및 결과] (0) | 2021.09.08 |
---|---|
경기도 청년 기본소득[사업소개] (0) | 2021.09.07 |
경기도 청년 면접수당[사업 결과] (0) | 2020.12.16 |
경기도 청년 복지포인트 사업(경기 기업 청년몰)[사업소개] (0) | 2020.10.23 |
경기도 청소년 교통비 지원[사업소개 및 신청결과] (0) | 2020.1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