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청년 복지포인트 사업(경기 기업 청년몰)[사업소개]
이 포스트는 2020년 10월 09일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향후 정책의 조건이 바뀔 수 있으므로 사이트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청년 복지포인트 사업 바로가기]
사업 요약
경기도 중소기업 등에 재직중인 경기도 거주민에게, 복지포인트를 제공한다.
금액 : 선발 후 1년간 복지포인트(최대120만원) : 복지포인트로 지급됨
포인트 사용처 : 경기기업 청년몰(복지포인트로 물건을 구매할 수 있는 곳)
사업 대상 및 제한 사항(신청 당월 1일 기준)
사업 대상
-
경기도내 거주중인 만 18세~ 만 34세
-
경기도 소재 중견·중소기업, 소상공인업체, 비영리법인 재직자(단, 공공기관은 제외)
-
2개월 평균 건강보험료 86,710원(월급여 260만원) 이하
-
주 36시간 이상, 3개월 이상 근무자( 4대 사회보험 미가입자 신청가능)
[중복참여가능] 내일채움공제, 청년재직자내일채움공제, 청년내일채움공제 사업 참여자도 신청가능
신청 기간 및 선발기준
지원규모
- 연간 총 17,000명 모집예정
선발시기
- 1차 모집 2020.5.1.(금) 09:00 ~ 5.15.(금) 18:00 (예정)
- 2차 모집 2020.8.1.(토) 09:00 ~ 8.18.(화) 18:00 (예정)
- 3차 모집 2020.11.1.(일) 09:00 ~ 11.16.(월) 18:00 (예정)
선발기준
- 건강보험료가 낮은 순 == 월급이 낮은 순서
전반적인 총평
경기도 사업과 정부 사업 여러개를 지원해보면서 깨달은 것은, 경기도 사업은 지역화폐를, 정부는 현금을 지급한다는 것이다. 이는 지방정부에서 복지사업을 펼치는 이유가 동시에 경제 활성화를 불러일으키기 위함이기 때문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경기도에 거주하면서 경기도 기업에 재직해야 하는 등의 까다로운 조건은 상대적으로 많은 박탈감을 일으키기에 충분하다(일례로, 필자의 친구들은 서울에서 근무하는 경우도 많다 - 서울에 있는 회사만 붙었으면 방법이 없지).
필자의 직업군은 특성상 같은 시에 회사가 많아 굳이 다른 도시까지 나가기 않았지만, 만약에 다른 도시에 취업을 하고 이 사업에 대해 알게됬다면 조금 억울했을것도 같다. 어쨋든 이 사업 자체는 월급이 적은 사람들에게 우선순위가 있기 때문에, 사업에 신청하더라도 뽑히지 않을 확률이 높아보인다(최저 임금을 받는 아르바이트 생을 이길 수는 없을 듯).